-
- 성명 김공숙 교수
- 연구분야 드라마·방송·영화·공연 스토리텔링, 문화콘텐츠 기획·개발
- 담당과목 발상과 스토리구성/ 스토리텔링론 / 시나리오작법
- 연구실 국제교류관 117호
- 전화번호 054 820 6384
- E-mail kimgongsook@naver.com
- Homepage
-
날짜 |
내용 |
2013. 09 ~ 2016. 02 |
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 (문학박사) |
2010. 09 ~ 2013. 02 |
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 (문학석사) |
1985. 03 ~ 1990. 02 |
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(문학사) |
날짜 |
내용 |
2022. 04 ~ 현재 |
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부교수 |
2018. 03 ~ 2022.03 |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조교수(스토리텔링 전공) |
2018. 03 ~ 현재 | 한국지역문화학회 학술이사(2020~), 한국방송학회 방송콘텐츠연구회 간사, 안동대문화산업연구소장(2021.3~2023.2), 한국예술교육학회 이사(2020~) |
2017. 11 ~ 현재 | <경향신문>, <동아일보>, <스포츠동아>, 월간지 <퀸>의 드라마 및 방송 평론 |
2022.10 | 글로벌 K-스토리 프리 페스티벌 발표 (경북 콘텐츠의 드라마화 방안) |
2022.9 | 2022 세계유산국제콘퍼런스 '세계유산, 오래된 새로움' 총괄 기획 및 사회 |
2020 | 2020 문화도시 컨설턴트 |
2019.11.05 | 2019 무형문화유산 국제심포지엄 발제 - 현대 드라마에 나타난 구전 무형문화유산, 설화 |
2019.07.25 | 한중상생포럼(중국 심천) 강연 - 한중 콘텐츠 스토리로 말하다 |
2017. 09 |
제 14회 전국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공모전 우수상 |
2017. 07 ~ 2018. 02 |
중앙대학교 전임연구원(박사 후 과정, 한국연구재단) |
2017. 05 ~ 2017. 10 | (사) 한국방송작가협회 부설 작가교육원 드라마 연수반 수료 |
2017. 04 ~ 2017. 12 |
병영(兵營) 독서활성화 지원사업 독서코칭 전문 강사(우수 강사) |
2017. 04-11. |
나라사랑호국음악회 뮤지컬 대본(해군본부), 뮤지컬 <꿈빛도서관> 드라마 투르그 |
2016. 10 |
방송콘텐츠 글로벌 집필능력 강화를 위한 국비 해외 심화연수(미래창조과학부, 미국 LA) |
2016. 03 ~ 2016. 08 |
고려대학교 인문대학 강사 |
2015. 02 |
제 1회 한국방송평론상 우수상 '가만히 보고 깊이 보고 사랑할만한 <밀회>' |
2014. 12 |
한국문화재재단 논문 공모 장려상 '궁중채화의 관광기념품화 방안 연구 |
2014. 04 ~ 2018.02 |
<기술과 혁신> CTO 인터뷰 집필(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) |
2013. 03 |
중소기업중앙회방송 프로그램 기획 idea 공모전 장려상(공동수상) |
2012. 03 ~ 2015. 02 |
중부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 강사 |
2010. 09 | 문화부장관 부여역사문화도시 정책현장 방문 자문위원(스토리텔링 부문) |
2010. 08 ~ 2010. 12 |
부래미마을 <농촌마을스토리텔링>(농림수산부), 한국문화원연합회, 대전광역시 인재개발원 <스토리텔링> 특강 |
2009. 08 ~ 2011. 10 |
국회방송 매거슈어 <미래의 창>, ㈜메디슨 사사, 서울메트로, 대한주택보증보험 사회공헌백서 집필 |
2003. 09 |
보건복지부 장관 표창(MBC ‘어린이에게 새 생명을’ 구성) |
2001 ~ 현재 |
* 홍보, 교육, 애니메이션 영상 기획 및 구성 시나리오 |
2000. 03 ~ 2004. 02 |
재능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 |
1999~현재 |
* 국내 외 이벤트 & 문화 행사 & 시나리오 기획 구성 |
1994. 05 ~ 현재 |
(사) 한국방송작가 협회 정회원 |
1989 ~ 2015 |
* 방송 프로그램 기획 구성 및 대본 집필(KBS, MBC, EBS, TV조선, MBN, YTN, CBS 등) |
날짜 |
내용 |
2023. 04 | K-드라마 팜 파탈 캐릭터의 원형성 - <미스티>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/ 문화와 융합 45(4)_단독 |
2022. 12 | 드라마 <별에서 온 그대>의 시학적 플롯과 특징 / Preview: 디지털영상학술지 19(2) _단독 |
2022. 12 | 『놋다리밟기 - 안동의 여성대동놀이』, 민속원_공저 |
2022. 07 | <모아나>에 나타난 여성 영웅 서사 구조와 어머니 여신 원형의 양가성 / 문화와 융합 44(7)_교신 |
2022. 06 | 드라마 <마더>에 나타난 모성원형의 양가성과 모성 콤플렉스 / 영상문화콘텐츠연구(26)_단독 |
2022. 04 | 『문화커뮤니케이션에서 본 다양성문제』 / 중앙대학교 다문화콘텐츠연구소_공저(POD) |
2022. 02 | 『OTT 스토리텔링 생존 공식』 / 북코리아(2022 세종 우수도서 교양부문)_공저 |
2021.11 | 드라마 <부부의 세계>에 나타난 배신당한 좋은 아내 캐릭터의 신화 원형 / 글로벌문화콘텐츠(49)_교신 |
2021.10 | 드라마 <나의 아저씨>에 나타난 중년 남성의 개성화 과정 / 영상문화콘텐츠연구(24)_단독 |
2021.08 | 로맨틱코미디드라마의 서사 특징과 결말 변형의 함의 : <별에서 온 그대>와 <도깨비>를 중심으로 / 다문화콘텐츠연구(37)_단독 |
2021.06 | 드라마 <밀회>에 나타난 민담 <내 복에 산다>의 원형성과 숯구이 총각형 남성 캐릭터/ 인문과 예술(10)_단독 |
2021.06 | 영화 리뷰 콘텐츠의 현재와 <스타워즈 : 라스트 제다이> 논쟁을 통해 본 영화비평의 방향성 / Preview: 디지털영상학술지 18(1) _교신 |
2020.11 | 『안동 지역 전통유산의 활용』 / 국학진흥원_공저 |
2020.09 | 안동 브랜드 웹툰의 스토리텔링 양상과 특징 / 영남학(74)_단독 |
2020.09 |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연희 확장 가능성 고찰 : <초랭이> 캐릭터의 정체성 전환을 통하여 / 지역과 문화 (제7권 3호)_교신 |
2020.08 | 『고전은 어떻게 콘텐츠가 되었을까』/ 푸른사상_공저 |
2020.06 | 상처받은 내면치유과정의 멜로드라마적 재현과 함의 - <시크릿 가든>과 <괜찮아, 사랑이야> 캐릭터를 중심으로 / 영상문화콘텐츠연구(20)_단독 |
2020.05 | 글로벌 OTT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콘텐츠 IP 전략 : 게임 플랫폼 사례와 비교를 중심으로 / 글로벌문화콘텐츠(43)_교신 |
2020.04 | 『안동 문화 둘러보기』/ 안동시, 안동축제관광재단_공저 |
2020.03 |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: 안동 '그대생강'의 사례를 중심으로 / 지역과 문화(제7권 1호)_교신 |
2019.12 | 멜로드라마 여성 캐릭터의 신화원형과 개성화 - <공항 가는 길>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/ 한국학연구(71)_단독 |
2019. 03 | <덴동어미화전가>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와 문학관광 콘텐츠화 방안 / 영남학(68)_단독 |
2018. 12 | 한류 로맨스 드라마 캐릭터와 재자가인 비교 연구: <태양의 후예> 캐릭터를 중심으로/ PREVIEW:디지털영상학술지(15)_주저자 |
2018. 06 | 멜로드라마 <밀회>에 나타난 민담 <손 없는 색시>의 원형성과 개성화 과정 비교 연구/ 글로벌문화콘텐츠(34)_주저자 |
2017. 08 |
영화 <늑대소년>의 환상성 재현 양상과 의미/ 글로벌문화콘텐츠(29)_주저자 |
2017. 06 |
민담 <손 없는 색시>에 나타난 원형(原型)의 의미/ 한국학연구(61)_단독 |
2017. 01 |
『멜로드라마 스토리텔링의 비밀 - 캐릭터와 원형』/ 푸른사상 (2017 세종 우수 학술 도서 예술 부문 선정)_단독 |
2016. 06 |
연극과 영화의 매체 차이에 대한 고찰: 카잔의 영화 <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>를 중심으로」/ 콘텐츠문화(8)_단독 |
2016. 06 |
<별에서 온 그대>에 나타난 중국애정서사의 원형과 변용/ 한국학연구 (57)_단독 |
2016. 03 |
『문화 원형과 콘텐츠의 세계』/ 푸른사상_공저 |
2016. 02 |
멜로드라마 캐릭터의 신화 원형 연구/ 박사학위논문 |
2014. 12 |
궁중채화의 관광기념품화 방안 연구: 종이조형 팝업 기술의 활용을 중심으로/ 문화유산 창의적 활용 학술심포지엄(한국문화재재단)_단독 |
2014. 10 |
영화 <늑대소년> 서사구조의 통과의례 연구/ 콘텐츠문화(5)_단독 |
2014. 04 | 영화 <늑대소년>의 상호텍스트성 연구: <가위손>과의 비교분석 관점에서/ 현대영화연구(17)_단독 |
2013. 02 |
텔레비전드라마의 영웅서사구조분석: <시크릿가든>을 중심으로/ 석사학위논문 |
2012. 06 |
『응용인문학과 콘텐츠』/ 푸른사상_공저 |
2012. 04 |
낭만적 사랑 신화의 현대적 해석/ 콘텐츠문화(1)_단독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