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인콘텐츠 바로가기

교수진

  • 문산원소개
  • 교수진

이은주 교수

  • 조회 8240
  • 2014.04.06 12:28
    • 성명 이은주 교수
    • 연구분야 복식콘텐츠, 공연의상, 문화상품
    • 담당과목 왕실문화콘텐츠 / 전통복식콘텐츠 / 전통색채와 문양 / 공연의상
    • 연구실 국제교류관 118호
    • 전화번호 054) 820-6385
    • E-mail lej580@naver.com
    • Homepage


학력사항

 날짜

 내    용

1994.08 ~ 1999.02

 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(이학박사)

1980.03 ~ 1982.02

 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(석사)

1976.03 ~ 1980.02

 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(학사)


경력사항

 날짜

 내    용

2021 ~ 현재

 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민속분과 문화재위원

2020 ~ 현재

 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

2019 ~ 현재

 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

2017 ~ 2021

 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전문위원

2007 ~ 2021

 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

2005 ~ 2007

 안동대학교 박물관장

2000 ~ 2001

 Univ of Washington (U.S.A) 객원교수

1999 ~ 2000

 안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학장

1995 ~ 2009

 안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교수


연구활동

 날짜

 내    용

2022(05)

 16세기 해주오씨(海州吳氏) 묘 말군의 재현에 관한 연구 / 韓國服飾 47(1)

2022(05)

 조선전기 순창 단오성황제 재현을 위한 무속제의 참여자 복식 제안 / 韓國服飾 47(1)

2022(04)

 조선전기 순창 단오성황제 재현을 위한 유교제의 참여자 복식 제안 / 국학연구 47

 2021(12) 原本老乞大를 통해 본 고려와 원나라의 직물 교역 / 동국사학 72
 2021(12) 정조대 서장대야조도(西將臺夜操圖)장용영(壯勇營) 하급 군사의 군복 고증 / 문화재 54(4)
 2021(12) 三國史記 車騎 條 기록으로 보는 통일신라시대 車馬의 신분별 금제 고찰 / 한국문화 96
 2021(12) 을묘년(1795) 화성 원행 시 정조의 군융복식 고증 / 韓國服飾 46(2)
 2021(12) 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/ 고궁문화 14
 2021(12) 1740~1753년에 제작된 운보문 어보 보자기의 문양에 대한 고찰 / 고궁문화 14
 2021(09) 남녕위(南寧尉) 윤의선(尹宜善)1837혼수발기속 편복 고찰 / 文化財 54(3)
 2021(08) 조선시대 생원 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/ 국학연구 45
 2021(06) 정조대 <서장대야조도(西將臺夜操圖)>의 관직자 복식 고증 / 문화재 54(2)

2020(12)

 1795년 정조의 화성 城操<서장대 야조도> 비교 분석 / 민족문화 56

2020(12)

 1705년 금보개수도감에서 제작한 금보 보자기의 소재와 문양에 관한 고찰 / 고궁문화 13 

2020(09)

 조선시대 공신 초상(功臣肖像)의 관복(2) 고찰 / 文化財 53(3)

2020(08)

 朝鲜时代卤簿制度与仪仗军服饰 / 艺术设计研究 2020(4)

2020(06)

 조선후기 경상감사 도임행차 재현을 위한 의물 연구 / 지역과 문화 7(2) 

2020(06)

 조선시대 공신초상(功臣肖像)의 관복(1) 고찰 / 文化財 53(2)

2020(05)

 궐내각사 상의원의 위치와 조직 및 구성원에 대한 고찰 / 韓國服飾 43

2019(12)

 전북 순창 진주강씨 묘역의 석인상 복식 고찰 / 韓國服飾 42

2019(12)

 외규장각 의궤 책의 문양을 통한 운보문 편년 설정 방법 / 文化財 52(4)

2019(09)

 남녕위 윤의선의 1837년 혼수발기 속 관복 고찰 / 文化財 52(3)

2019(09)

 의성 지역 역사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제안 / 지역과 문화 6(3)

2019(03)

 선조대(宣朝代) 공신초상(功臣肖像)의 복식 고찰 / 文化財 52(1)

2019(03)

 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/ 국학연구 38

2018(12)

 정미가례시일기 복식 어휘 / 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

2018(12)

 웅진 백제5왕 추모제례 제관 복식 고증 / 韓服文化 21(4) 

2018(12)

 <희경루방회도(喜慶樓榜會圖)> 속 인물들의 복식 고찰 /文化財 51(4) 

2018(09)

 조선시대 백의풍습(白衣風習)에 대한 상복설 배경 고찰 / 韓服文化 21(3)

2018(06)

 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/ 국악원논문집 37

2018(06)

 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평정모(平頂帽)의 명칭 검토와 제작방법 / 文化財 51(2)

2018(06)

 세조 태실 가봉(加封)을 위한 내향맞이 의례와 참여자 복식 고증 / 韓服文化 21(2)

2018(06)

 1828년과 1848년 순원왕후의 진작기물 연구 / 조선시대사학보 85

2017(12)

 1829년 기축진찬의례(己丑進饌儀禮)의 진작(進爵기물(器物) 연구 文化財 50(4)

2017(09)

 1829년 자경전 진찬에 참여한 차비(差備)의 역할과 복식 유형 / 韓服文化 20(3)

2017(09)

 1829<명정전진찬도> 의장차비(儀仗差備)와 의장군(儀仗軍) 복식 / 韓服文化 20(3)

2017(06)

 1829년 자경전 진찬에 참여한 왕실 구성원과 내외빈의 복식 연구 韓服文化 20(2)

2017(03)

 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복장 직물과 왕비 유씨 저고리 고찰 / 石堂論叢 67

2016(12)

 1829년 <명정전진찬도>의 정재차비(呈才差備) 복식 연구 / 韓服文化 19(4)

2016(08)

 1932년 왕손 이구(李玖)의 『의대목록』 복식에 관한 연구 /古文書硏究 49

2016(06)

 1829년 <명정전진찬도>의 산선시위(繖扇侍衛) 복식 유형 / 韓服文化 19(2)

2016(02)

 영성제(靈星祭) 복원을 위한 무동복식 고증/ 韓服文化 19(1)

2016(02)

 1800년 정조(正祖) 국장(國葬) 재현을 위한 의장군(儀仗軍) 복식 연구/韓服文化 19(1)

2015(12)

 조선후기 왕세자 의장기(儀仗旗)의 크기와 재료에 관한 연구 / 韓服文化 18(4)

2015(06)

 1837년 덕온공주 가례 재현을 위한 복식 고증 / 韓服文化 18(2)

2015(05)

 1877년 완화군(完和君)의 관례복식(冠禮服飾)에 대한 연구 / 韓服文化 18(2)

2014(12)

 종묘대제용 면복의 십이장문 재현에 관한 연구 / 韓服文化17(3)

2014(07)

 조선후기 왕세자 책례(冊禮) 시 의장(儀仗)에 대한 연구 / 韓服文化 17(3)

2014(07)

 조선후기 백택기(白澤旗) 사용자와 형태 및 재료에 관한 고찰 / 韓服文化 17(3)

2014(02)

 1899년 삼척 준경묘와 영경묘 봉심에 참여한 관직자 복식 고증 / 韓服文化 17(1)

2013(12)

 17세기 여자 수의용 칼깃 저고리 사례와 사용 원인에 대한 시론적 고찰/韓服文化 16(3)

2013(08)

 장자백 춘향가에 묘사된 조선후기 남자복식에 관한 고찰 / 韓服文化 16(2)

2013(04)

가례도감의궤를 통해 본 의향(衣香)의 용도와 재료 / 韓服文化 16(1)

2013(04)

 전통의류산업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/ 韓服文化 16(1)

2013(04)

 1817년 효명세자 입학례의 왕세자 복식 고증 / 文化財 46(1)

2013(03)

 Collaboration of Archaeologists, Historians and Bioarchaeologists during Removal of Clothing from Korean Mummy of Joseon Dynasty / International Journal of Historical Archaeology 17

2012(12)

 단종 제향 복원을 위한 재관(齋官) 복식 고증 / 服飾 62(8)

2012(08)

 조선시대 사대부 묘역 무인석상 복식에 대한 고찰 / 韓服文化 15(2)

2012(06)

 順天 松廣寺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 服飾에 관한 고찰 / 文化史學 37

2012(04)

 Ectopic paragonimiasis from 400-year-old female mummy of Korea,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 39

2011(12)

 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/ 服飾 61(10)

2010(08)

 출토복식을 통한 정담(丁聃, 1476~?)의 몰년 추정 / 韓服文化 13(2)

2009(06)

 서애 류성룡 갑옷의 형태 복원을 위한 기초 조사 / 服飾 59(5)

2009(06)

 Acute traumatic death of a 17th century general based on examination of mummified remains found in Korea / Annals of Anatomy 191

2009.03

 Eung Tae's tomb: a Joseon ancestor and the letters of those that loved him / Antiquity 83

2008(10)

 The potential for non-invasive study of mummies: validation of the use of computerized tomography by post factum dissection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of a 17th century female Korean mummy / Journal of Anatomy 213

2008(08)

 1743년 영조 오순 어연례 참여자의 복식 고증 / 韓服文化 11(2)

2008(07)

 사대부 묘 석인상 복식의 양식변화 요인에 관한 고찰 / 服飾 58(6)

2008(06)

 조선시대 무관의 길짐승흉배제도와 실제 / 服飾 58(5)

2008(04)

 Gymnophalloides Seoi Eggs from the Stool of a 17th Century Female Mummy Found in Hadong, Republic of Korea, J. Parasitol 94(2)

2008(04)

 순조대 궁중무용복식 고증과 디지털콘텐츠화: 춘앵전 정재 복식 / 韓服文化 11(1)

2008(03)

 19세기 조선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/ 服飾 58(3)

2008(01)

 耆社契帖의 景賢堂錫宴圖에 보이는 인물들의 복식 고찰 / 服飾 58(1)

2007(12)

 날짐승흉배의 감정(鑑定)을 위한 기준 설정 / 韓服文化 10(3)

2007(08)

 조선시대 궁중의례 재현행사를 위한 고증복식의 현황과 과제 / 韓服文化 10(2)

2007(04)

 16세기 후반 전주최씨 일가 묘 출토복식의 사료적 가치 / 韓服文化 10(1)

2007(03)

 英祖代 大射禮儀 참여자의 복식 유형 고증 / 服飾 57(2)

2007(02)

 하회탈놀이 공연복식에 대한 시점(時點) 검토에 그에 따른 복식 제안 / 공연문화연구 14

2006(12)

 조선시대 신부복의 이중구조와 변천에 관한 연구 / 韓服文化 9(3)

2005(10)

 중요민속자료 지정명칭 및 유물명칭 변경 사례연구 / 服飾 55(7)

2005(09)

 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 제도 변천 / 服飾 55(6)

 

트위터 페이스북 싸이공감 네이트온 쪽지 구글 북마크 네이버 북마크